■ 지수경기와 체감경기의 괴리
지수물가와 체감물가의 괴리가 상당하다. 지수물가(소비자물가)는 8월에 1.2% 상승에 머물렀고, 통계청이 체감물가를 파악하기 위해 도입한 생활물가도 0.6% 상승에 그쳤다. 하지만 현대경제연구원의 설문조사 결과, 소비자가 피부로 느끼는 체감물가 상승률은 5.0%에 달했다.
지수물가와 체감물가의 괴리는 지수경기와 체감경기의 괴리로 이어지고 있다. 대내외 경제 여건이 악화되면서 지수경기는 GDP 증가율이 떨어지고 물가상승률도 하락하는 디플레이션 특성을 띠고 있다. 반면 국민들은 ‘경기가 침체되는 가운데 물가상승률이 높다’는 응답이 84.5%에 이르러, 체감경기는 스태그플레이션 양상을 보이고 있다.
■ 체감물가와 체감경기의 특징
(특징1) 체감물가가 지수물가보다 4배나 가파르게 상승하고 있다. 지수물가(소비자물가)는 8월에 1.2% 상승한 반면, 소비자가 피부로 느끼는 체감물가 상승률은 5.0%에 이르렀다. 또한 물가가 불안하다고 생각하는 소비자가 93.1%에 달해 물가 불안 심리가 심각한 수준이다.
(특징2) 중산층과 고소득층의 체감물가 상승률도 저소득층과 마찬가지로 매우 높은 수준이다. 소득이 200만원 미만인 저소득층의 체감물가 상승률은 4.9%이고, 소득 200~400만원 미만은 5.1%, 400~600만원 미만은 4.9%, 600만원 이상의 고소득층은 4.8%이다. 한편 적자가구의 체감물가가 흑자가구보다 크게 상승하고 있다. 가계지출이 가계소득보다 많은 적자가구의 체감물가는 8월에 5.4% 상승하여, 흑자가구(소득>지출)의 4.8%, 균형가구(소득?지출)의 4.8%보다 높다. 소득수준보다는 가계수지 흑자 여부가 체감물가에 더 큰 영향을 끼치고 있다.
(특징3) 직업별로 보면 자영업자의 체감물가 상승률이 높은 편이다. 자영업자의 체감물가 상승률은 5.2%로 전체 평균인 5.0%보다 높다. 음식점에 종사하는 자영업자의 경우, 태풍으로 인한 농수산물 가격 상승으로 재료비가 상승하면서 체감물가가 크게 상승한 것으로 분석된다. 반면 전업주부의 체감물가 상승률은 전체 평균보다 낮은 4.8%를 기록하였다. 전업주부는 상대적으로 물가 관련 정보가 많아 지수물가와의 괴리가 작은 것으로 판단된다.
(특징4) 연령이 높을수록 체감물가 상승률도 높다. 20대, 30대의 체감물가 상승률은 각각 4.4%, 4.8%인 반면, 40대는 5.3%, 50대 이상은 5.2%를 기록하였다. 40~50대의 경우 소득이 높음에도 불구하고 소비지출이 많아 체감물가가 높게 형성되고, 60대 이상 고령층은 소득이 적어 체감물가가 높게 느껴지는 것으로 분석된다.
(특징5) 지역별로 체감물가가 큰 차이를 보이고 있다. 서울과 대전충청 지역의 체감물가 상승률은 각각 5.3%, 5.4%로 높은 반면, 광주전라 지역과 인천경기 지역은 각각 4.5%, 4.8%로 낮은 수준이다.
(특징6) 자주 구입하고 지출비중이 큰 생활밀착품목 중에서도 식료품과 승용차 연료, 전기·가스·난방 가격이 가장 크게 올랐다는 응답이 많았다. 식료품 가격이 가장 크게 올랐다는 응답자는 51.4%였고, 휘발유 등 승용차 연료는 20.4%, 전기·가스·난방은 14.6%였다. 반면 대중교통비(2.1%), 교육비(3.5%), 외식비(3.6%), 전월세(4.4%)라고 답한 응답자는 적었다.
(특징7) 체감물가의 파급영향을 보면, 적자가구와 저소득층을 중심으로 물가로 인한 생계부담이 크고 소비 위축도 심각한 수준이다. ‘물가 때문에 생계부담을 느끼고 있다’는 응답자는 적자가구의 88.7%, 흑자가구의 69.2%였고, 저소득층(200만원 미만)은 84.4%, 고소득층(600만원 이상)은 68.2%였다. ‘물가 때문에 소비를 줄이고 있다’는 응답은 적자가구의 82.1%, 흑자가구의 62.7%, 저소득층의 78.1%, 고소득층의 60.5%였다.
■ 시사점과 정책 과제
(시사점) 지수물가와 체감물가의 괴리는 실제 경기와 체감 경기의 괴리로 이어져 정부의 통화정책 수단을 제약할 가능성이 있다. 또한 체감물가 상승은 소비 위축으로 이어져 정부의 내수활성화 대책에 걸림돌로 작용할 수 있다. 따라서 체감물가의 수준 및 추이를 정확히 파악하고, 체감물가를 낮추기 위한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
(정책 과제) 현대경제연구원의 설문조사에 따르면, 국민들은 체감물가를 낮추는 정부 대책으로 유통구조 효율화(46.5%)를 가장 선호하고, 체감물가지수를 개발해야 한다는 응답자도 26.7%에 달했다. 식료품가격을 품목별로 관리해야 한다는 응답은 20.5%, 기준금리 인상은 6.0%였다.
따라서 정부는 첫째, 유통구조 효율화 및 정부비축 시스템 정비를 통해 농산물 가격을 안정시켜야 한다. 둘째, 소비자가 피부로 느끼는 체감물가 수준과 추이를 파악할 수 있는 체감물가지수를 개발하여, 통계청의 생활물가지수를 보완할 필요가 있다. 마지막으로, 추석 후 국제곡물가격 및 원자재가격 상승에 편승하여 공산품 및 서비스 가격이 덩달아 오르는 것을 미시적으로 관리해야 한다.
[현대경제연구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