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망·트랜드/경영·전략

청년실업률 3.2% ,10월 실업률 18년 만에 최고






청년실업률이 사회문제로 대두되고 있는데요


청년실업률 8.6%, 10월 기준 18년 만에 최고치라네요.


체감실업률은 21.7%라고 하는데요..심각하네요












10월 취업자가 27만9천명 증가하면서 증가폭이 다시 20만명대로 내려앉았습니다.

청년층 실업률은 체감실업률 역시 큰 폭 뛰면서 고용사정이 좀처럼 개선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자영업자 역시 2개월 연속 증가하는 등 고용지표가 불안한 흐름인데요..ㅜㅜㅜ













통계청이 15일 발표한 10월 고용동향을 보면 지난달 취업자 수는 


2천685만5천명으로 1년 전보다 27만9천명(1.0%) 증가했습니다.



취업자수 증가 규모는 한동안 30만명 이상을 유지하다가 8월에 21만2천명으로 7개월 만에 20만명대로 떨어졌습니다. 


한 달 만인 9월(31만4천명)에는 30만명대를 회복했지만 10월 다시 20만명대로 내려갔습니다.








산업별로 건설업, 공공행정·국방 및 사회보장행정, 보건업 및 사회복지서비스업, 도매 및 소매업 등에서 증가했지만, 


사업시설관리 및 사업지원서비스업, 숙박 및 음식점업, 전문·과학 및 기술서비스업 등에서 줄었습니다.

'괜찮은 일자리'로 평가받는 제조업은 1년 전보다 2만8천명 증가하면서 5개월 연속 증가세를 유지했습니다.












자영업자는 지난 8월 1년여만에 처음으로 줄었으나 9월(4만5천명)에 이어 10월(4만3천명)에도 증가했습니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비교 기준인 15∼64세 고용률은 66.9%로 1년 전보다 0.4%포인트 상승했습니다.


실업자 수는 1년 전보다 2만7천명 줄어든 89만6천명으로 집계됐습니다. 


25∼29세, 60세 이상에서 증가했지만, 30∼40대, 20∼24세에서 감소했습니다.














비경제활동인구는 육아(-9.1%), 재학·수강(-1.4%), 가사(-0.8%) 등에서 줄었지만, 


쉬었음(15.5%), 연로(3.5%) 등에서 늘어나 1년 전보다 6만3천명 증가한 1천607만6천명으로 집계됐습니다.





빈현준 통계청 고용동향과장은 "고용률이 실질적으로 상승했는데도 



출산율 저하 등으로 고용시장에 새로 진입하는 사람들이 늘어나지 않아서 취업자수가 둔화됐다"고 설명했습니다.












청년실업률이 이렇게 증가하고 있는 지금,

진정으로 실업률을 줄일 수 있는 방안이 무엇인지 생각해봐야할것같습니다.


저도 요새 사업하고싶다는 생각이 들정도로 일하는게 힘들지만

또 한편으로는 일하는것에 감사하고 그러네요..ㅜ







출처: MBN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