Ⅰ. 글로벌 환경변화와 중소기업 글로벌화IT 혁명, 시장통합, 글로벌 생산네트워크 확산 등의 환경변화로 글로벌화에 필요한 거래비용이 감소하면서 중소기업에게도 글로벌화 기회가 확대 ① IT 혁명: 인터넷 기반 사업환경 발달, 소셜미디어의 확산 등으로 거래비용이 낮아져 중소기업의 글로벌화가 용이 ② 시장통합: FTA 확산과 자본·인력·기술 등 생산요소의 국가 간 이동 확대에 따른 시장통합은 규모의 경제 활용 기회를 중소기업에게 제공 ③ 글로벌 생산네트워크 확산: 중소기업에게 글로벌 공급망 참여와 함께 글로벌 소싱의 기회를 부여 Ⅱ. 중소기업의 성공적 글로벌화를 위한 제언환경변화와 중소기업의 특성을 고려하여 시장진출, 타 기업과의 협력 제고, 역량 강화 등 3대 영역에서 글로벌화를 위한 6가지 전략을 도출 ·시장진출 : IT 기술, 시장통합 환경을 토대로 ① 틈새시장 탐색, ② 인접 분야 신시장 개척, ③ 新소통수단 활용 등으로 우회 1. 시장진출□ 전략 1: 기존 역량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는 틈새시장을 탐색 - 중소기업은 글로벌화 경험이 적고 가용자원의 제약이 많기 때문에 현지화된 제품을 새롭게 개발하는 데 한계 □ 전략 2: 핵심 경쟁력을 기초로 인접 분야의 신시장을 개척
- 경쟁우위 분야에 기업의 핵심 역량을 집중하고 연구개발을 강화한 후 핵심 기술의 인접 분야 중 시장성이 유망한 산업을 개척 □ 전략 3: 소셜미디어 등 新소통수단을 적극 활용 - 소셜미디어는 유연함, 신속성, 저비용 등 매체의 특성상 대기업보다 중소기업에게 더욱 적합한 소통수단·제품 특성별로 최적의 미디어를 선택하여 발신함으로써 홍보효과를 극대화 * 미국의 믹서기 제조기업 블렌드텍은 유튜브에 동영상을 올려 매출액이 50배나 증가 2. 협력 제고□ 전략 4: 국내 대기업과의 기존 거래관계를 지렛대로 활용 - 글로벌 경쟁력이 있는 국내 대기업과의 거래관계는 중소기업의 해외 진출 시 강력한 프리미엄으로 작용 □ 전략 5: 현지기업과의 네트워크를 활용해 사업을 확대 - 중소기업은 해외진출에 필요한 현지 유통력, 운영 인력 및 시스템 등을 자체 개발 혹은 M&A로 내재화하기 어려우므로 현지기업과의 제휴 등 협력관계를 통해 확보 3. 역량 강화□ 전략 6: 경영자원의 해외 확보를 적극 추진 - 부족한 자금, 기술, 인력 등의 경영자원을 해외에서 조달해 활용하는 글로벌 인바운드(Inbound) 전략을 추진 Ⅲ. 시사점 및 정책대응□ 중소기업: 글로벌 역량 제고 노력을 강화 ‘안으로의 글로벌화(Inbound)’와 ‘밖으로의 글로벌화(Outbound)’를 병행 추진하는 ‘In and Out’ 전략을 통해 글로벌 역량을 단기간에 확보하고 전략의 유연성을 제고 □ 대기업: 글로벌 동반 성장의 생태계를 활성화 글로벌 경쟁력을 이미 확보한 대기업은 글로벌 역량이 취약한 협력업체의 글로벌화에 실질적으로 도움을 줄 수 있는 현실적인 지원방안을 모색 □ 정부: 보다 내실 있는 중소기업 글로벌화를 제도적으로 지원 중소기업 글로벌화를 지원하는 예산을 확대하고, 각종 지원정책 간 우선순위를 합리적으로 설정 [삼성경제연구소 정무섭 수석연구원 www.seri.org] |
'전망·트랜드 > 경영·전략'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마트 워크, 외부 효과에 주목해야 (0) | 2012.02.04 |
---|---|
스마트 워크 프로그램 확산을 위한 성공 조건 (0) | 2012.02.04 |
CEO가 주목해야 할 4대 리스크 (0) | 2012.02.04 |
2등 기업에게 배우는 성장 전략 (0) | 2012.02.04 |
나선형 개발, 신제품 성공의 묘수 (0) | 2012.02.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