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망·트랜드/경제·마케팅

2000년대 세계무역구조 변화의 10대 특징

2000년 이후 세계교역 추이

세계교역규모는 2000년 16조 달러에서 2011년 45조 달러로, 연평균증가율 9.8%로 견조하게 성장해 왔다. 2000년 최대교역국이었던 미국은 점차 영향력이 떨어진 반면, 7위국이었던 중국은 2011년 세계교역의 10.7%를 차지하면서 최대교역국으로 부상하였다.



세계무역구조 변화의 10대 특징

2000년대 세계무역구조의 변화를 살펴보면 크게 10가지의 특징을 확인할 수 있다. 첫째, 선진국과 개도국의 ‘파워쉬프트’를 세계무역구조 변화의 가장 큰 특징으로 꼽을 수 있다. 세계수출에서 차지하는 개도국 비중이 2000년 25.1%에서 2012년 41.0%로 증가하며 세계무역 내 영향력이 증대되었다. 둘째, 기존의 세계무역 중심국이었던 북미와 유럽의 영향력이 저하되었다. 세계 총 교역액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북미는 16.4%에서 11.2%로, 유럽은 29.1%에서 24.6%로 감소세를 나타내었다. 셋째, 아시아가 세계무역의 중심으로 부상하였다. 아시아 개도국으로 해외직접투자 유입액(FDI inflow)이 증가하면서 아시아 세계 수출입 비중이 2000년 9.5%에서 2012년 17.5%로 크게 증가하였다. 넷째, 중동 및 아프리카가 중요한 세계교역국으로 성장하였다. 중동 및 아프리카는 높은 경제성장률을 보이며, 석유 뿐만 아니라 석유 이외의 영역에서 교역규모 성장을 견인하였다. 다섯째, 무역협정국간의 무역이 증가하고 있다. 지역무역협정(RTA) 체결의 뚜렷한 증가세에 협정국간의 무역의존도가 증가해 오고 있다. 여섯째, 서비스무역이 견조하게 성장하였다. 세계 총 서비스수출액은 연평균 10.1%로 증가하였고, 서비스무역의 세계무역 기여도가 상품무역보다 높게 나타났다. 일곱째, 산업재 교역량이 자본재를 추월하였다. 글로벌 공급사슬이 확산됨에 따라 부품, 소모품 등의 산업재의 교역규모가 성장하였다. 여덟째, 무역품목이 다변화되었다. 승용차, 원유 등의 20대 주요 무역품목들은 2000년에 세계 교역액의 46.2%를 차지하였지만, 수출입 품목이 다양화 되면서 2011년 37.9%로 하락하였다. 아홉째, 최대 무역품목이 원유에서 정제유류제품으로 변화하였다. 석유화학산업의 확대로 원유의 무역비중은 감소하고, 정제유류제품의 비중이 급증하였다. 열째, 신흥국 무역품목이 고부가가치화 되었다. 신흥국들은 고부가가치 지식기술집약산업을 바탕으로 서비스무역을 확대해왔고, 하이테크제품의 상품무역 비중도 선진국을 추월하였다.



한국의 대응 과제

먼저, 수출 대상지역을 신흥국으로 다변화해야 하고, 주변국과의 적극적인 FTA 협상을 추진하여 글로벌 보호무역주의에 대응할 필요가 있다. 품목별 무역구조 변화에 대응하여 산업재 및 석유화학 플랜트 건설 분야의 경쟁력을 확보하고 지식집약서비스, 첨단기술 등의 서비스무역을 진흥할 필요가 있다


[현대경제연구원]


보도자료 통신사 뉴스와이어(www.newswire.co.kr) 배포